1 / 64

경 제 수 학 MATHEMATICAL ECONOMICS

경 제 수 학 MATHEMATICAL ECONOMICS. 이 기 성. 제 1 장 수리경제학의 성격. 수리경제학의 성격. 수리경제학 (mathematical economics). 경제분석의 한 접근방법으로서 수학기호를 사용하여 문제를 서술하고 , 그 해결을 위한 추론과정에서 수학의 정리를 이용 수리경제학에서는 수학의 모든 분야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학 분석에 응용 가능한 수학적 지식을 이용 함 . 전통적으로 수리경제학에서 다루는 수학 기법으로는

Download Presentation

경 제 수 학 MATHEMATICAL ECONOMICS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경 제 수 학 MATHEMATICAL ECONOMICS 이 기 성

  2. 제1장 수리경제학의 성격

  3. 수리경제학의 성격 • 수리경제학(mathematical economics) • 경제분석의 한 접근방법으로서 수학기호를 사용하여 • 문제를 서술하고, 그 해결을 위한 추론과정에서 • 수학의 정리를 이용 • 수리경제학에서는 수학의 모든 분야를 이용하는 것이 • 아니라 경제학 분석에 응용 가능한 수학적 지식을 이용함. • 전통적으로 수리경제학에서 다루는 수학 기법으로는 • 기하학 이외에 행렬대수, 미분 및 적분법, 미분 및 • 차분방정식 등임.

  4. 경제현실 • 수리경제학의 영역 수리경제학의 영역 경제현실 설명, 적용, 응용 경제학 각 과목의 영역 (미시, 거시등) 경제이론 (경제모형) 수 학

  5. 수리경제학과 비수리경제학 • Mathematical economics & Literary economics • 모든이론의 분석 목적은 ‘항상 주어진 일단의 가정이나 • 공준들로부터 추론과정을 통해 결론이나 정리를 도출 • 하는 것’임. • 수리경제학(mathematical economics): • 가정과결론을 수학기호, 수식으로 표현하며, 추론과정 • 에서 수학정리를 이용 • 비수리경제학(literary economics): • 가정과결론을 단어, 문장으로 표현하며, 추론과정에서 • 비수학적 논리를 이용

  6. 기하학과 수리경제학 • 기하학적 분석과 수리적 분석 • 기하학적 분석의 장점 : • 시각적인 장점 • 기하학적 분석의 한계 : • 차원의 제한(예 : 3차원 이상의 그래프 유도 불가능) • 수리적 분석의 장점 : • - 수학기호(언어)의 간결성과 정확성 • - 풍부한 수학적 정리의 사용 • - 명시적 가정의 서술 • - 변수가 n개인 일반적인 경우에의 적용 가능

  7. 수리경제학과 계량경제학 • Mathematical economics & Econometrics • 계량경제학(econometrics): • 경제자료의 측정을 다루는 분야로 추정과 가설검정의 •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관측된 것을 • 연구하는 분야 • 수리경제학(mathematical economics): • 통계적 문제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경제분석의 • 순수이론적 측면에 수학을 적용함.

  8. 수리경제학과 계량경제학 • Mathematical economics & Econometrics • 그러나 경험적 연구와 이론적 분석은 상호보완적이며 • 서로 보강해 주는 역할을 함. • → 즉, 이론이 신뢰성을 가지고 적용되려면, • 이에 앞서 경험적 자료에 의한 검정과정을 거쳐야 함. • 또한 통계적 작업이 의미 있고 유용한 연구방향을 • 결정하려면 그 지침으로서 경제이론이 필요함. • 예 : Keynes의 소비함수의 이론적 연구→소비성향의 • 통계적 추정→Friedman의 소비함수 이론의 정치화

  9. 제2장 경제모형

  10. 경제모형 • 경제모형(economicmodel) • 현실 경제는 엄청난 복잡성 때문에 모든 상호관계를 •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함. • 경제이론은 현실 세계에 대한 하나의 추상에 불과함. • (=이론적 모형) • 즉, 경제모형은 의도적으로 단순화시킨 분석의 틀로서 • 실제 경제의 골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임. • 경제모형은 단지 이론적 틀이므로, 그것이 반드시 • 수리적 모형이어야 할 내재적 이유는 없음.

  11. 수리적모형(mathematical model) • 수리모형의 구성요소 : 변수, 상수, 파라미터 • 경제모형이 수리적 모형이라면, 그 모형은 일반적으로 • 그 구조를 나타내는 일단의 방정식들(equations)로 • 구성됨. • 변수(variable) : • 그 크기가 변할 수 있는 값으로, 여러 가지 값을 취할 수 • 있는 것(또는 기호), 즉 랜덤(random)하게 달라지는 것 • (예 : 가격, 이윤, 판매수입, 비용, (국민)소득, 소비, 투자, • 수입, 수출 등 경제학에서 고려되는 거의 모든 것)

  12. 수리적모형(mathematical model) • 수리모형의 구성요소 : 변수, 상수, 파라미터 • 변수(variable) • - 내생변수(endogenous variable) : • 모형으로부터 해의 값이 구해지는 변수 • 외생변수로부터 영향을 받아 모형 내부에서 결정 • 되어지는 변수(=방정식의 미지수(unknowns)) • - 외생변수(exogenous variable) : • 모형의외부 힘에 의해 결정되는 변수 • → 어떤 모형에서의 내생변수인 것은 다른 모형에서는 • 외생변수가 될 수 있음.

  13. 수리적모형(mathematical model) • 수리모형의 구성요소 : 변수, 상수, 파라미터 • 경제학에서의 내생변수와 외생변수의 예 • - 단순한 수요이론에서 때때로 가격(외생변수)이 • 주어지면, 이에 의하여 균형량(내생변수)이 결정됨. • - 국제 유가의 인상(외생변수)으로 국내 물가(내생변수) • 가 상승하고, 이에의하여 무역수지(내생변수)가 악화됨. • - 여름철의이상 저온(외생변수)으로 인하여 아이스크림 • 소비(내생변수)가 저조함.

  14. 수리적모형(mathematical model) • 수리모형의 구성요소 : 변수, 상수, 파라미터 • 상수(constant) • 그 크기가 변하지않는 양으로, 변수의 정반대임. • 계수(coefficient) • 상수가변수와 결합될 때, 이를 그 변수의 계수라 함. • 상수는 수가 아니라 기호일 수도 있음(예 : 7P, aP).

  15. 수리적모형(mathematical model) • 수리모형의 구성요소 : 변수, 상수, 파라미터 • 파라미터적상수(parametric constant)=parameter : • - 변수가 되는 상수(=모형의 특성을 나타내는 상수) • - 예를 들어 aP에서 기호 a는 어떤 특정한 수치로 • 지정되지 않았으므로 실제로는 여러 가지 어떤 값도 • 취할 수 있는 변수인 상수임. • - 파라미터는 외생변수와 유사하므로, 즉 외부로부터 • 주어진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편의상 파라미터라고함. • - 외생변수는 내생변수와 구분하기 위하여 하첨자를 • 붙임(예 : P는 가격, P0는 외생적으로 결정된 가격).

  16. 수리적모형(mathematical model) • 수리모형의 구성요소 : 등식과 항등식 • 방정식의 유형 : 정의식, 행태식, (균형)조건식 • 정의식(definitional equation=항등식) : • 똑같은 의미를 갖는 두 개의 다른 표현 사이의 항등관계를 • 나타내는 방정식 • π(총이윤)R(총수입)-C(총비용) • 행태식(behavioral equation) : • 한 변수가 다른 변수들의 변화에 어떤 식으로 반응(대응) • 하는가를 규정하는 방정식 • C=75+10Q, C=110+Q2

  17. 수리적모형(mathematical model) • 수리모형의 구성요소 : 등식과 항등식 • (균형)조건식(equilibrium conditional equation) : • - 균형개념을 포함하는 모형의 경우 해당 • - 균형의 달성을 위해 필요한 조건을 나타내는 방정식 • Qd=Qs (수요량=공급량 : 시장모형의 균형) • S=I (의도된 저축=의도된 투자 : • 단순한국민소득모형의 균형) • MC=MR (한계비용=한계수입 : 최적화조건)

  18. 실수체계 • 수의체계 • 모든 정수의 집합(setof all integers) • - 양(+)의정수(positiveintegers) : 1, 2, 3, ∙∙∙ • - 영(zero) : 0 • - 음(-)의정수(negative integers) : -1, -2, -3, ∙∙∙ • 모든 분수의 집합(setof all fractions) • - 정수와정수 사이의 수 • - 양(+)의분수(positivefractions) : 2/3, 5/4, 7/3, ∙∙∙ • - 음(-)의분수(negative fractions) : -1/2, -2/5, -5/3, ∙∙∙

  19. 실수체계 • 수의체계 • 모든 유리수의 집합(setof all rationalnumbers) • - 모든분수의 공통적인 성질은 두 정수의 비로 표현됨. • - 유리수는 두 정수의 비로 나타낼 수 있는 수 • - 여기서 rational은 ‘합리적’ 의미가 아니라 ‘비율’을 의미 • - 따라서 모든 정수의 집합과 모든 분수의 집합의 합은 • 모든 유리수의 집합임. • - 유리수의 또 다른 특성은 유한소수(terminating decimal : • 즉 1/4=0.25)로 표현되거나, 소수점 이하의 숫자들이 • 무한히 반복되는 순환소수(repeating decimal)로표현됨.

  20. 실수체계 • 수의체계 • 무리수(irrationalnumber) • - 두 정수의 비로 표현될수 없는 수 • =1.4142∙∙∙, π=3.1415∙∙∙ • - 무리수의 공통적인 특성은 비순환무한소수라는 점 • - 각 무리수는 수직선상 두 유리수 사이에 위치

  21. 실수체계 • 수의체계 • 모든 실수의 집합(setof all realnumbers : R) • - 수직선상에서분수가 정수 사이의 틈을 채워 주고, • 무리수는 유리수 사이의 틈을 채워줌. • - 이러한 채워 넣기의 결과는 수의 연속체(continuum) • 가 됨. 이 수들을 모두 실수(real number)라고 함. • - 수직선을 연장하여 그 집합 R을 하나의 직선으로 • 나타낼 때, 그 직선을 실직선(real line)이라함.

  22. 집합(set)의개념 • 집합과 원소의 개념 • 집합(set) : • -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그 대상을 분명히 알 수 있는 • 것들의 모임 • - 단순히성격이 명확한 대상들의 모임 • (예 : 모든 재화들의 가격들) • - 이 대상들은 수일 수도, 사람일 수도, 또는 다른 어떤 • 것일 수도 있음. • 원소(element) : • 집합을구성하는 대상하나하나(예 : 각 재화의 가격)

  23. 집합(set)의개념 • 집합의 구성요소 • 일반적으로 집합은 알파벳 대문자를 사용하고, • 원소는 알파벳 소문자를 사용함. • 집합의 구성요소는 기호 ‘’(원소 : element의 e를 의미 • 하는 그리스 문자 ε의 변형) : “~은 ~의 원소이다.” • 2S, 3S, 8I, 9I • 8S • xR : “x는 하나의 실수이다.” • 집합과 원소 사이의 관계 : • 원소집합

  24. 집합(set)의개념 • 집합의 표기법 • 집합의 표기방법에는 열거방법(enumeration method), • 서술방법(description method), 벤 다이어그램이 있음. • 열거방법(=원소나열법) : 원소들을열거 • S={2, 3, 4} • 서술방법(=조건제시법) : 원소의 특징을 서술 • I={x│x는 양의 정수} • J={x│2<x<5} • 집합 S는 유한 개수의 원소를 가진 유한집합(finite set) • 집합 I,J는 무한 개수의 원소를 가진 무한집합(infinite set)

  25. 집합(set)의개념 • 집합의 표기법 • 벤 다이어그램(Venn diagram) : • 원, 사각형 등을 이용하여 집합을 나타낸 그림 • S • 2 3 4

  26. 집합(set)의개념 • 집합표기법의 정리 • 열거방법의 경우 원소의 나열순서는 바꾸어도 됨. • {2, 3, 4} = {2, 4, 3} • 열거방법에서 같은 원소는 중복하여 쓰지 않음. • {2, 3, 4, 4} (X), {2, 3, 4} (O) • 서술방법에서 기호 { }가 이미 모임을 의미하므로 • {x│x는 양의 정수의 모임}과 같이 쓰지 않음. • {x│x는 양의 정수} (O)

  27. 집합(set)의개념 • 집합 사이의관계 • 두 집합 A, B 사이에 다음과 같을 때 집합 A와 B는 같음. • A={2, 7, a, f}, B={2, a, 7, f}일때, • 또는 AB인 동시에 AB인경우 • 부분집합(subset) : • -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집합 B의 원소이면, 집합 A는 • 집합 B의 부분집합이라 함. • A={3, 7}, B={1, 3, 5, 7, 9} • - 집합 A가 집합 B의 부분집합이라면, • xA일 때 반드시 xB임.

  28. 집합(set)의개념 • 집합 사이의관계 • 부분집합(subset)의표현 : • - 집합 A가 집합 B의 부분집합일 때 AB 또는 BA로 • 나타냄. • - 집합 A가 집합 B의 부분집합이 아닐 때 AB로 나타냄. • - 두 집합 A,B의 원소가 모두 같을 때, 즉 AB이고 • AB일 때 집합 A와 집합 B는 서로 같음(A=B). • - 두집합이서로 같지 않을 때 AB로나타냄. • 집합과 집합 사이의 포함관계 : “~은 ~에(을) 포함된다.” • 집합집합, 여기서 ‘’는 contain(포함하다)의 c를 의미

  29. 집합(set)의개념 • 집합 사이의관계 • 진부분집합(proper subset=순수부분집합): • 어떤 집합의 부분집합 중에서 자기자신을 제외한 • 부분집합, 즉 두 집합 A, B에 대하여 AB이고 AB일때 • A를 B의 진부분집합이라 함. • 공집합(null set, emptyset) : • - 원소가없는 집합으로  또는 { }로 나타냄. • - 공집합은 유일함(=유한집합). • {x│x는 2보다 크고 4보다 작은 짝수}= • -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가장 작은 부분집합)

  30. 집합(set)의개념 • 집합 사이의관계 • 부분집합(subset)의 개수 : • - (유한)집합 A의원소개수는 기호로 n(A)로 나타냄. • - 공집합의 원소 개수는 n()=0 • - 원소의 개수가 n개인 집합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n임. • A={a, b}; 원소 개수가 2개이므로 부분집합의 개수는 • 22=4개 : , {a}, {b}, {a, b} • - 위에서 적색으로 표기한 집합은 집합 A의 진부분집합 • (AB이고 AB)임.

  31. 집합(set)의개념 • 집합 사이의관계 • 분리집합(disjoint set) : • - 두 집합이 공통된 원소를전혀 갖지 않는 집합 • - 예 : 모든 양(+)의 정수 집합과 모든 음(-)의 정수 집합 • - 만약 두 집합의 원소 일부만 공통되는 경우 두 집합은 • 같지도 않고 분리되어 있는 것도 아님. 또한 둘 중 • 어느 집합도 다른 것의 부분집합이 아님 : • A={1, 2, 3, 4, 5}, B={2, 4, 6, 8}

  32. 집합(set)의개념 • 집합의연산 • 합집합(Union) : • - 두 집합 A, B에 대하여 A에 속하거나 B에 속하는, 즉 • A 또는 B 모두에 속하는 원소 전체로 이루어진 집합 • - AUB={x│xA 또는(or) xB} • A={3, 5, 7}, B={2, 3, 4, 8}이면, AUB={2, 3, 4, 5, 7, 8} • 모든정수와 모든 분수의 합집합은 모든 유리수의 집합 • 유리수 집합과 무리수 집합의 합집합은 모든 실수 집합

  33. 집합(set)의개념 • 집합의연산 • 교집합(i∩tersection=공통부분; common part) : • - 두 집합 A, B에 대하여 A에도 속하고 B에도 속하는, 즉 • A 그리고(및) B에 속하는 원소 전체로 이루어진 집합 • - A∩B={x│xA 그리고(and) xB} • A={3, 5, 7}, B={2, 3, 4, 8}이면, A∩B={3} • A={-3, 6, 10}, B={9, 2, 7, 4}이면, A∩B= • A∩B=일 때, A와 B는 서로 소(素; disjoint)라 함.

  34. 집합(set)의개념 • 집합의연산 • 합집합과 교집합의 성질 (과제) : • - A∩A=A, 그리고AUA=A • - A∩=, 그리고 AU=A • - AB일 때, A∩B=A, 그리고 AUB=B • - (A∩B)A, A(AUB), (A∩B)(AUB)

  35. 집합(set)의개념 • 집합의연산 • 전체집합(universal set : U) • 주어진 집합에 대하여 그의 부분집합을 생각할 때, • 처음 주어진 집합을 전체집합(U)이라함. • 보집합(=여집합)(complement : Ac, A′, Ã) • - 전체집합(U)의부분집합 A에 대하여 U의원소 중 A에 • 속하지 않는 원소 전체로 이루어진 집합 : • Ac={x│xU 그리고(and) xA} • U={5, 6, 7, 8, 9}, A={5, 6}이면, Ac={7, 8, 9} • - 전체집합(U)의 보집합(Uc)은공집합()임.

  36. 집합(set)의개념 • 집합의연산 • 보집합(=여집합)의 성질 (과제): • - A∩Ac=, 그리고 AUAc=U • - (Ac)c=A • - c=U, 그리고 Uc= • - (A∩B)c=AcUBc • - (AUB)c=Ac∩Bc

  37. 집합(set)의개념 • 집합의연산 • 차집합(difference) : • - 두 집합 A, B에 대하여 A의원소 중에서 B에 속하지 않는 • 원소 전체로 이루어진 집합(A-B 또는 A\B로 표기) • - A-B={x│xA 그리고 xB} • - B-A={x│xB 그리고 xA} • - A-BB-A • A={a, c, d, f}, B={c, d, e}이면, A-B={a, f} • A={a, c, d, f}, B={c, d, e}이면, B-A={e}

  38. 집합(set)의개념 • 집합의연산 • 차집합의 성질 (과제): • - A-BB-A • - A-B=A∩Bc=(AUB)-B=A-(A∩B) • - U-A=Ac • - A-B=이면 AB

  39. 집합(set)의개념 • 집합연산의법칙 • 교환법칙(commutative law) : • AUB=BUA, 그리고 A∩B=B∩A • 결합법칙(associative law) : • AU(BUC)=(AUB)UC, 그리고 A∩(B∩C)=(A∩B)∩C • 분배법칙(distributivelaw) : • A∩(BUC)=(A∩B)U(A∩C) • AU(B∩C)=(AUB)∩(AUC)

  40. 집합(set)의개념 • 집합연산의법칙 • 예(교재 p.14) : • A={4, 5}, B={3,6,7}, C={2, 3}일 때, 분배법칙의확인 • - A∩(BUC)=(A∩B)U(A∩C) • 좌변: A∩(BUC)={4, 5}∩{2, 3, 6, 7}= • 우변: (A∩B)U(A∩C)=U= • - AU(B∩C)=(AUB)∩(AUC) • 좌변: AU(B∩C)={4, 5}U{3}={3, 4, 5} • 우변: (AUB)∩(AUC)={3, 4, 5, 6, 7}∩{2, 3, 4, 5} • ={3, 4, 5}

  41. 관계(relation)와함수(function) • 순서쌍(ordered pair) • 집합(set)의경우 : • - 집합 {a, b}에서원소 a, b의 순서는 의미가 없음. • {a, b}={b, a} • - 이경우원소 a와 b는 비순서쌍(unordered pair)임. • 순서쌍(ordered pair)의 경우 : • - a와 b의 순서가 의미를 가질 때는 (a, b)와 (b, a)는 • a=b가 아닌 한 (a, b)(b, a)이라는성질을 가짐. • - 이 경우 (a, b)와 (b, a)는 서로 상이한 순서쌍이 존재 • - 순서쌍인 경우 중괄호({ })로 대신 소괄호(( ))로 표기

  42. 관계(relation)와함수(function) • 순서쌍(ordered pair) • 순서집합(ordered set) • - 순서쌍(ordered pair) : 원소가 2개인 순서집합 • - 3중 순서쌍(ordered triple) : 원소가 3개인 순서집합 • - 4중 순서쌍(ordered quadruple) : 원소가 4개인 순서집합 • - 5중 순서쌍(ordered quintuple) : 원소가 5개인 순서집합 • - n중 순서쌍(ordered n tuple) : 원소가 n개인 순서집합 순서집합

  43. 관계(relation)와함수(function) • 순서쌍(ordered pair) • 수학에서의순서쌍 : • - 순서쌍의 대표적인 예는 평면 또는 공간상의 좌표 • (coordinates)임. • - 예로, 순서쌍 (x, y)는 평면상의 임의의 점 P의 좌표임. • - 여기서 x는 점 P의 x-좌표, y는 점 P의 y-좌표임.

  44. 관계(relation)와함수(function) • 순서쌍(ordered pair) • 데카르트 곱=카티시안 적(積) 또는직접 곱(Cartesianproduct • ordirectproduct)의정의 : • - 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A와 B가 주어졌을 때, • 집합 A에 속하는 하나의 원소 a와 집합 B에 속하는 • 하나의 원소 b로 이루어진 모든 순서쌍 (a, b)의 집합을 • A와 B의 데카르트 곱(Cartesianproduct)이라 함. • - 이를 집합기호로는 AB={(a, b)│aA, bB}라고 표기 • - 여기서 a는 첫번째 좌표(firstcoordinate) 그리고 b를 • 두번째 좌표(secondcoordinate)라 함.

  45. 관계(relation)와함수(function) • 순서쌍(ordered pair) • 데카르트 곱=카티시안 적(積) 또는직접 곱(Cartesianproduct • ordirectproduct) : • - 이용어는프랑스 수학자 데카르트(Descartes; 1596~ • 1650)가 처음 사용한데서 유래 • - 집합 x={1, 2}, y={3, 4}로부터 4개의 순서쌍이 만들어짐. • - 이를데카르트 곱(xy)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음 : • xy={(1, 3), (1, 4), (2, 3), (2, 4)} • - yx={(3, 1), (3, 2), (4, 1), (4, 2)} • - xy  yx

  46. 관계(relation)와함수(function) • 순서쌍(ordered pair) • 데카르트 곱(Cartesianproduct) : • - x,y가 모든 실수를 포함한다면 데카르트 곱은 다음과 • 같음. • xy={(a, b)│aR and bR} • - 즉, 실수값을 원소로 하는 모든 순서쌍의 집합임. • - 각순서쌍은 직교좌표평면상의 유일한 점에 대응함. • 역으로 직교좌표평면상의 각 점도 집합 xy에 속하는 • 유일한 순서쌍에 대응함. 즉, 순서쌍의 집합과 좌표 • 평면상의 점들 집합 사이에 1:1 대응관계가 존재함.

  47. 관계(relation)와함수(function) • 순서쌍(ordered pair) • 데카르트 곱(Cartesianproduct) : • - xy={(a, b)│aR and bR}=RR=R2 : • 2차원 평면의모든점들 집합에 대응 • - xyz={(a, b, c)│aR, bR, cR}=RRR=R3 : • 3차원 공간의 모든 점들 집합에 대응

  48. 관계(relation)와함수(function) • 관계와 함수 • 관계(relation) : • 모든순서쌍들은 y값을 x값과 관련시키는 것이므로 • 순서쌍의 어떤 집합(즉, 데카르트 곱의 어떤 부분집합)은 • y와 x 사이에 하나의 관계를 구성함. • - 예 : 집합 {(x, y)│y=2x}는 (1, 2), (0, 0), (-1, -2),∙∙∙인 • 순서쌍들의 집합임. 이는 일종의 관계를 이루며, • graph 상으로는 직선 y=2x 상에 놓인 점들의 집합

  49. 관계(relation)와함수(function) • 관계와 함수 • 관계(relation) : • - 예 : 집합 {(x, y)│yx}는 (1, 0), (1, 1), (1, -4),∙∙∙을포함하는 • 순서쌍들로 이 역시 일종의 관계를 구성함. • 이 집합은 부등식 yx를 만족하는 graph 상으로는 • 음영 부분의 모든 점들의 집합에 대응함. • - 여기서 주목할 것은 x값이 주어졌을 때 어떤 관계로 • 부터 항상 유일한 y값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님. • - 그러나 각 경우는 설정된 관계를 만족시킴.

  50. 관계(relation)와함수(function) • 관계와 함수 • 함수(function) : • - 특별한 경우로 각 x값에 대해 오직 하나의 y값만이 • 대응하는 관계가 있는데, 앞의 예 y=2x의 관계가 • 그러한경우임. • - 함수란 첫번째 원소가 중복되지 않는 순서쌍의 집합 • - 즉, 함수란 각각의 x값이 유일하게 하나의 y값만을 • 결정하는 성질을 갖는 순서쌍들의 집합 • - 이때, y는 x의 함수(function)라 하며,y=f(x)로 표기함.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