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5

중국 강관시장 발전과 전망

중국 강관시장 발전과 전망. 2005 년 11 월 24 일. 왕 영 걸 中國首都鋼鐵 서울사무소장. 주요 연구과제. 중국 경제발전 추이와 강재시장 : - 중국강관발전현황 및 발전추이 분석 중국강관 주요품목 생산능력과 생산량 추이 : - 향후 생산 능력 전망 중국 강관 수출입 현황 분석 : - 지역별 수출입 현황 , 중국 강관산업의 국제 경쟁력 내수 수급 및 업종별 수요 분석 : - 긴축정책에 따른 향후 수요 예측

Download Presentation

중국 강관시장 발전과 전망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중국 강관시장 발전과 전망 2005년 11월24일 왕 영 걸 中國首都鋼鐵 서울사무소장

  2. 주요 연구과제 중국 경제발전 추이와 강재시장 : - 중국강관발전현황 및 발전추이 분석 중국강관 주요품목 생산능력과 생산량 추이: - 향후 생산 능력 전망 중국 강관 수출입 현황 분석: - 지역별 수출입 현황, 중국 강관산업의 국제 경쟁력 내수 수급 및 업종별 수요 분석 : - 긴축정책에 따른 향후 수요 예측 중국 ‘신경제정책’과 ‘신철강정책’이 강관산업에 미치는 영향 : - 중국 강관산업의 향후 발전전략, 기업조직구조, 산업구조 조정 방향과 중점내용

  3. 1997년 이후 경제와 강재시장 발전추이 중국 경제와 강재시장 GDP 성장속도 (%) 중국 경제는 매년 고속성장과 가격상승으로 수년간 예측 불가능한 상태였으나,거시조정정책 발표 이후, 경제성장 속도가 완만해지고 국제강재시장이 조정됨에 따라 올 4월부터는 강재가격도 하락했다. 향후 성장속도로 볼 때 철강의 호황시기는 더 이상 없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올 하반기에는 저조한 시황 속에강관 역시 비슷한 양상이다.

  4. MyspiC 지수도 CRU 종합지수 MyspiC 종합지수 중국강재시장가격과 국제시장과의 격차 8월 이후 중국 강재시장과 국제 강제 시장 추이

  5. 무계목강관과 판재류 시장 현황 159X6 무계목 강관 전국 평균가 2001년 이후 무계목강관 가격은 안정세를 보이다가 2003년10월 이후 급등세를 보임. 이후 긴축정책으로 철강재 전체 가격이 영향을 받아 현재 조정국면에 있음.

  6. 中国市场上普通热轧板与无缝管价格对比(元/吨)中国市场上普通热轧板与无缝管价格对比(元/吨) 159*6 HRC 6500 6000 5500 5000 4500 4000 3500 3000 04-2-4 04-3-4 04-4-4 04-5-4 04-6-4 04-7-4 04-8-4 04-9-4 05-1-4 05-2-4 05-3-4 05-8-4 05-9-4 03-7-4 03-8-4 03-9-4 04-1-4 05-4-4 05-5-4 05-6-4 05-7-4 04-10-4 04-11-4 04-12-4 03-10-4 03-11-4 03-12-4 중국 무계목강관과 열연코일 가격비교 중국내 보통강 열연코일과 무계목강관 가격비교(위안/톤) 전체적으로 시장 가격은 급격한 조정국면을 보이고 있는 반면 무계목강관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임 在市场剧烈调整中无缝管价格相对稳定

  7. 강재시장에서 강관 점유비(단위 : 만톤, %) 강재 강관 비중 전년비 2000년 934 7.10 9.60 13,146 2001년 1,138 7.25 21.88 15,702 2002년 1,309 6.80 15.03 19,250 2003년 1,797 7.46 37.29 24,082 2004년 2,123 7.14 18.14 29,739 2005E 2,503 6.91 17.89 36,200 2,940 6.90 17.46 2006E 42,600 중국 강관산업의 기본 현황 • 1953년 10월27일 안산무계목강관사가 중국내 처음으로 무계목강관을 개발한 이후 생산량 급증 • 지난해 중국 전체 무계목강관 생산량 908만톤, STS무계목강관은 20만톤으로 세계 무계목강관 • 생산대국으로 부상. • 올해 무계목강관 생산 약 1,008만톤으로 에상. 03년부터 중국은 무계목강관 수출국으로 전환. • 03년 수입 47만톤, 수출 56만톤, 04년 수입 69만톤, 수출 75만톤, 05년 수입 9만톤, 수출 11만톤 • 용접강관 생산 2004년 1,215만톤에서 2005년에는 1,495만톤에 달할 전망. • 2000년 이후 강관이 전체 강재에 차지하는 비중은 6.9~7.3%에 달함.

  8. 무계목 용 접 누계 중국 강관생산량 (만톤) 연도 무계목 용접강관 합계 519 934 2000년 415 602 1,138 2001년 536 701 1,309 2002년 608 1,066 1,797 2003년 732 1,215 2,123 2004년 908 1,495 2,503 2005년E 1,008 중국 강관 생산량 증가 현황 1980년 이후 중국 강관 생산량 (만톤) 中国钢管生产量在2000년以后快速增长,2005년预计达到2500万吨 중국 강관 생산량은 2000년 이후 급증하여 2005년에는 2500만톤에 달할 전망 자료:CISA

  9. 80년 이후 생산과 소비량 비교(만톤) 생산계 소비계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 1980년 1983년 1986년 1989년 1992년 1995년 1998년 2001년 2004년 강관 생산량과 소비변화 중국 강관소비변화 비교 생산과 소비차 연간생산량 명목소비 격차/생산비

  10. 중국 무계목강관 생산능력 추이 • 중국내 무계목강관 기업은 약250사, 생산라인은 총 310여기이며, 연간 생산능력은900만톤이상.일부 기업은 이미 선진제조기술 및 설비 보유.예) 천진강관Ф168PQF, 포두강철 Ф180MPM, 안산강철Ф159MPM(연내 273MPM신규투자), 반지화성도 Ф340MPM등 세계적 수준의 무계목강관 설비를 보유중. • 중국무계목강관의 국산화는 90% 수준으로 2006년도 무계목강관 생산량은 1,050만톤 이상일 것으로 전망. 무계목강관 생산능력 추이 (만톤)

  11. 중국 무계목강관 생산능력 분포도 화북28% 서북2% 동북9% 화동40% 서남 8% 화중12% \화남1% 중국내 무계목강관 지역별 생산은 화동이 40%, 화북이 28%, 화중 12%, 기타로 지역편차가 심함.

  12. 1 9 지역 - 월 누계 1~9월 누계 지역 전국 754.02 복건 0.21 북경 0.18 강서 24.26 천진 131.73 산동 62.01 하북 13.52 하남 10.57 산서 3.28 호북 35.37 내몽고 64.33 호남 42.89 요녕 55.93 광동 4.33 길림 11.96 중경 6.97 흑룡강 0.31 사천 55.54 상해 68.05 귀주 1.25 강소 89.59 섬서 1.05 절강 40.75 청해 13.09 안휘 16.53 신강 0.32 2005년 1~9월 열연 무계목강관 생산현황 2005년 1~9월 지역별 무계목강관 생산 비율 (만톤)

  13. 연산 10만톤 이상 무계목강관 메이커 및 2005년 예상 생산량 순위 2004년 2005 예상 기업명 증가량 증가율(%) 908 1,008 100 11.01 전 국 585 663 78 13.33 중점기업 합계 1 119 144 25 21.01 천진강관유한책임공사 2 114 117 3 2.632 상해보강그룹 3 79 87 8 10.13 포두강철그룹유한책임공사 0 4 67 67 0 반강그룹성도강철유한책임공사 5 48 58 10 20.83 호남형양강관(그룹)유한공사 6 38 53 15 39.47 안산강철그룹공사 7 32 38 6 18.75 야강그룹유한공사 8 20 20 0 0 라우우강철그룹유한공사 9 13 18 5 38.46 강소석강그룹유한공사 10 11 18 7 63.64 서녕특수강그룹유한책임공사 중국 무계목강관 생산 주요 메이커 2004년 생산량 기준으로 천진강관유한책임공사가 중국내 최대 무계목강관 메이커임

  14. 최근 무계목강관 신증설 능력 • 최근 중국 강관업계는 규모가 크고 선진 수준의 강관 설비를 앞다퉈 • 도입 중 • 예) 천진강관Ф168PQF과 포두강철Ф180MPM, 안산강철 Ф159MPM. • 9월30일 반지화성도강철 340연속강관설비 전라인 Hot Run 성공, • 중국내 최초이자 세계적기술의 대구경강관 설비로 국가 프로젝트에 • 걸맞는 강관 생산기지를 설립하는 계기 마련. • 성도강관 연내 Ф 340라인 증설、형양강관 Ф273라인 등 연내 • 120만톤 증설 • 여내 중국 무계목강관 생산능력 1,000만톤 넘을 듯。

  15. 중국 17대 대표기업 무계목강관 품목별 구성비 (%) 중국 무계목강관 제품 발전 현황

  16. 2003년 이후 순수출국 전환 2005년 수출 대폭 증가 전망 1980년대 이후 무계목강관 수출 추이 (단위 : 만톤) 순수입 수입 수출

  17. 主要品种净进口分析(万吨) 400000.00 300000.00 200000.00 100000.00 0.00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예측 -100000.00 -200000.00 -300000.00 1 석유 천연가스용 2 석유 천연가스 탐사용 4 보일러용 5 기타 3 지질탐사용 무계목강관 주요 수입품종 보일러용을 제외하고는 이미 순수출국으로 전환

  18. 2004~2005년 순수입 품목과 수량

  19. 중국 무계목강관 국가별 수입실적 2003년 이후 수입국 상위 10위업체중 일본이 최대 수입국이며 다음이 러시아임 (단위 : 만톤, %)

  20. 2003년 2004년 2005년 1~8월 국별 수량 점유율 국별 수량 점유율 국별 수량 점유율 합계 56.00 합계 75.60 합계 88.20 미국 14.90 26.61 미국 21.20 28.04 미국 29.00 32.88 캐나다 5.10 9.11 싱가폴 6.60 7.94 캐나다 8.90 10.09 대만 4.80 8.57 캐나다 6.00 7.94 싱가폴 7.40 8.39 한국 4.50 8.04 대만 5.60 7.41 한국 5.40 6.12 인도 2.80 5.00 한국 5.40 7.14 인도 5.10 5.78 인도네시아 2.80 5.00 아랍에메레이트 2.60 3.76 아르헨 2.00 4.50 싱가폴 2.60 4.64 인도 3.50 4.63 인도네시아 3.60 4.08 사우디 2.50 4.46 인도네시아 3.00 3.97 아랍에메 레이트 3.00 3.40 수단 2.30 4.11 수단 2.80 3.70 태국 2.90 3.29 카자흐스탄 1.60 2.86 이란 2.00 2.65 수단 2.50 2.83 중국 무계목강관 국가별 수출실적 2003년 이후 수출국 상위 10위업체중 미국, 캐나다, 한국 등이며 미국이 최대 수출국 (단위 : 만톤, %)

  21. 2004년도 중국 용접강관 설비구성과 생산비율 순위 설비명 대수 생산량(만톤)) 1 6 40 대구경 UOE강관 2 100 250 * 대구경 스파이럴 강관 3 ERW508 1 3 고주파직류용접기 라인 4 ERW426 1 7 고주파직류용접기 라인 5 ERW323 10 70 고주파직류용접기 라인 6 ERW114-219 60 200 * 고주파직류용접기 라인 7 ERW20-89 >1000 450 * 고주파직류용접기 라인 8 >1178 1020 * 총계 주:*표 생=산대수 및 생산량 포함하여 계산할 경우 총 생산능력은 1,500만톤 이상 용접강관 생산능력 및 분포 현황 • 02년 중국 용접강관 생산 960만톤, 그러나 실제 생산량은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 최근 민간자본이 비교적 기술요건이 낮은 보통강 용접강관 생산라인에 집중 투자됨. • 현재 하북성 당산시 및 주변에 약 200개의 고주파용접기가 건설 중이며 이들 생산능력은 600만톤에 달함. 화동 강소성은 보통강 용접강관 생산이 400만톤 이상인데 최근 100만톤 이상의 대중구경강관 라인을 신설중임. 예) 화북석유의 JCOE1420, 반우주강 UOE1120, 만기(진황도)JCOE1524, 보계석유 ERW426, 천진신주통 ERW340, 천진쌍가 ERW325, 천진이달 ERW325등 • 현재 중국내 용접강관 생산업체는 약 1,000여개사 설비는 2,000여대, 생산능력은 2,000만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

  22. 중국 용접강관 생산 분포도 화남 6% 서북 5% 서남 5% 화중 3% 화북 53% 화동 19% 동북 9%

  23. 1600.00 1400.00 1200.00 1000.00 800.00 600.00 400.00 200.00 0.00 1980년 1982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1996년 1998년 2000년 2002년 2004년 생산 수입 수출 명목소비 1980년대 이후 중국 용접강관 생산 추이 기타 강재와 같이 2002년 이후 생산과 소비 모두 고속 성장 기타 강재와 마찬가지로 2002년 이후 생산과 소비량 급증

  24. 지역 생산량(만톤) 지역 생산량(만톤) 북경 2.00 하남 13.04 천진 242.45 호북 19.14 하북 331.26 호남 1.33 산서 5.66 광동 55.18 내몽고 18.92 광서 11.61 요녕 77.88 해남 0.00 길림 10.39 중경 5.37 흑룡강 10.24 사천 41.99 상해 5.54 귀주 0.07 강소 97.55 운남 3.45 철강 45.09 협서 44.53 안휘 1.65 감숙 0.92 복건 13.08 청해 0.00 강서 5.84 영하 0.00 산동 43.03 신강 12.37 2005년 1월~9월 용접강관 생산현황

  25. 최근 중국의 대구경강관 생산 능력 현황 • 올해와 내년에 가동하는 설비 : 중유천보(中油天宝)사 ERW610,천진쌍가(天津双街)ERW610, 금주관도(金洲管道)사의 ERW630, 바오산강철의ERW610등 용접강관 설비 역시 지속적인 증설이 진행되고 있다. • 중국 강관업계의 기술수준과 품질, 물량 모두 국제 수준에 근접했으며 신제품개발과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를 통해 수입대체는 물론 국제시장 개척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최근 신증설 업체의 증가분 120만톤을 포함하여 용접강관 증가분만 240만톤 이상일 것으로 추정. • 바오산강철 07년 가동 예정으로 대구경 UOE강관 설비도입 계약 (508~1,422.4mm 해양 및 육지용 라이파이프용 50만톤 생산 계획) • 이중 라인파이프 75%, 구조용 강관 12.5%. • 06년 6기 UOE강관과 6기의 508~610mm 이상 대구경 ERW 증설로 생산능력 600만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

  26. 중국 용접강관 수출 현황

  27. 대구경 용접강관 규격별 순수입 현황(톤)

  28. 용접강관 국별 수입현황 2004년 43개 국가로부터 수입, 2005년 1~8월 44개국가로부터 수입 그 중 대만, 일본, 한국, 독일 수입량에 상대적으로 많다

  29. 용접강관 국별 수출현황 2004년 43개 국가로부터 수입, 2005년 1~8월 44개국가로부터 수입 그 중 대만, 일본, 한국, 독일 수입량에 상대적으로 많다

  30. 향후 15년 중국 강관 수요 예측 • [천연가스강관] (국가 발전 위원회 자료) 현재 중국의 석유천연가스 강관 수요 80만톤, 2020년까지 2,200억위안을 투자, 5만km에 달하는 오일 가스 파이프라인을 건설 예정.- 총수요량 : 1,200~1,500만톤. 향후 15년간 연평균 사용량 100만톤. • [유정관]05년 수요량 130만톤, 2015년까지 연평균 사용량 150~180만톤 전망 • [대도시 천연가스관] :중국의 주요대도시 가스관과 장거리 수송관 비율은 약 87.5:12.5 도시가스관 2020년까지 35만km로 확장, 40톤/km 기준으로 볼 때 향후 1,400만톤 수요, 매년 90만톤씩 필요. • [건축용 강관]2005년 건축용강관1,260만톤. 지상용 아연도금강관 약 630만톤, 구조용 약250만톤, 지하 매립용 380만톤(이중 천연가스용 약 90만톤) • - 05년 대도시 도시가스용 제외 건축용 강관 수요 약 1,170만톤, 2020년1억8천만톤. 향후 15년간 연간 건축용 강관 수요량 약 1,200만톤. • [기계구조용 강관]2020년보일러용 등 압력배관용, 기계구조용 수요 7,200만톤연평균 사용량 : 보일러용 100만톤(이중 중저압 보일러용이 2/3, 고압 보일러용 1/3), 자동차용 등 기계구조용강관 380만톤. • [석유화학용 강관] 탄소강관, 합금강, 스테인리스강관을 포함하여 연간 100만톤 • [경공업용 강관] 자전거, 가구, 가전제품 등에 사용, 연간 총 수요는 100만톤. • 이중 자전거용 매년 70만톤, 가구와 가전용 연간 30~40만톤.

  31. 중국 전체 강관 수요 전망

  32. 중국 강관산업의 당면 문제점 • 중국은 강관 생산대국이나 세계 강관 대국은 아니다. 현재 중국의 고품질과 低 에너지소비, 고부가치 제품인 무계목 강관의 품종은 제한적이며 국내 수요를 만족시키기에도 역부족이다. • 고강도, 특수밀도와 내저온성, 내부식성(황화수소, 일산화탄소), 고압 특수 유정관은 극심한 부족상태이며특히 특수 유정관은 매년 30만톤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 무계목강관은 품종과 품질, 에너지효율 등 개발 측면이 많다. 또 선진국과 비교 시 품질과 사용수명, 가격면에서 격차가 있는 만큼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생산거점의 불균형: 현재 전국 26개 무계목강관 생산업체 중 연간 20만톤 이상인 대도시는 10군데, 50만톤 이상은 천진, 상해, 내몽고, 강소, 산동, 사천등 6곳이며, 강소성이 최대이다. • 연간 50만톤 이상 메이커는 천진과 바오산, 포두, 성도 4곳에 불과

  33. 발전방향 ---강관대국에서 강관강국으로 • 선진기술과 설비의 점유율을 전체 강관생산의 2/3이상으로 확대하면 낙후된 설비와 기술은 폐기한다. • 저원가, 고품질, 고생산 등 강관의 종합 생산능력을 확대, 제련에서 강관 가공까지 전 공정의 합리적인 선진기법을 도입한다. • 합금강 고압보일러 강관과 스테인리스강관, 특수 유정관 및 고급 수송관 등 제품 구조조정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높이고 자급률을 확대하는 등 강관 대국의 입지를 확보한다. • 주요강관사는 규모 및 설비 대형화를 통해 집중도를 높여 100만톤 규모의 1~2개 대형 그룹으로 재편한다. 이를 통해 합리적인 자원분배와 에너지효율, 노동생산성 등 제품 품질 및 기술경제지표를 세계수준으로 끌어올려 국제 시장 경쟁에 참여한다. • 대기업은 순환경제 요구에 맞게 친환경 경영을 한다. • 강관설비업체와 강관메이커, 대학 연구소와 공동으로 기술 연구와 설계 등 기술선진화를 꾀한다. 또한 설비 국산화에 주력한다. • 생산기술과 제조과정 등 지적재산권에 관한 이론을 정립, 세계강관 연구센터를 운영하여 국제시장에 부합되는 신제품개발을 주도한다. • 시장수요에 맞는 기술방식을 개발, 표준화시켜 국내외시장을 개척한다. • 선의의 경쟁을 유도, 기술과 품질 수준을 높이고, 엄격한 생산관리와 시장 진입에 대한 등 규제방안을 제도화시킨다.

  34. 중국의 대외무역 마찰 심화 • 미국 강관사, 중국산 강관 수입 제한조치 요구 50여개 중국의 대미수출 강관기업중 100만달러 이상은 21여개사로 주로 천진, 상해,산동지역에 위치하고 있다.미국 7개 강관사들은 미국 ITC에 반덤핑제소 신청, 부시대통령에게 특별 관세부과제한방안을 제기한 바 있다. 미국 강관업계는 중국산 저가 강관제품이 미국내 시장가격 하락을 초래하고 있는 주범이라고 주장. • 최근 미국 ITC는 421조 특별보호법에 의거 조사한 결과 중국의 비합금 무계목강관이 미국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발표. • 조사 대상은 구경 0.372~16인치 강관으로 미국은 내년 1월부터 반덤핑을 실시할 예정. 이로 인해 중국 내수 경기는 한층 악화될 전망.10월21일 미국 ITC는 대통령과 무역대표부에 이와 같은 안을 제출했으나 수입 제한조치에 관한 최종 결정은 아직 미지수.중국 광업화학 수출입 협회의 통계에 의하면 지난해 중국 스탠다드강관 대미수출액은 1억1천만달러이며, 올 상반기 수출액은 8,753달러.

  35. 감사합니다 마이스틸 www.Mysteel.com www.Mysteel.net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