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8

중국의 차문화

중국의 차문화. 茶는 중국인의 일상 생활 필수품. 중국인이 생 활하는 데 필요한 7 가지 필수품은 “땔감 , 쌀 , 기름 , 소금 , 간장 , 식초 그리고 차이다 .”  이 속담은 茶가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말해준다 . 일설에는 중국 수돗물에는 석회성분이 많아 그냥 먹으면 탈이 나기 때문에 , 물을 끓여 먹는 과정에서 차문화도 발달한 것으로 주장하기도 한다 중국음식이 기름지지만 비만한 사람이 많지 않은 것은 바로 차를 마시기 때문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 . . 茶의 명칭과 유래.

Download Presentation

중국의 차문화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중국의 차문화

  2. 茶는 중국인의 일상 생활 필수품 • 중국인이 생활하는 데 필요한 7가지 필수품은 “땔감, 쌀, 기름, 소금, 간장, 식초 그리고 차이다.” 이 속담은 茶가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말해준다. • 일설에는 중국 수돗물에는 석회성분이 많아 그냥 먹으면 탈이 나기 때문에, 물을 끓여 먹는 과정에서 차문화도 발달한 것으로 주장하기도 한다 • 중국음식이 기름지지만 비만한 사람이 많지 않은 것은 바로 차를 마시기 때문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 

  3. 茶의 명칭과 유래 • 중국은 차의 나라로, 차의 음용은 신농씨(神農氏, BC2373) 때부터 시작되어 5,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神農이 백가지 약초를 맛보았는데, 하루는 72차례나 중독이 되었으나 茶를 마시고 해독했다'란 기록이 남아있다. • 후세 사람들은 신농이 차를 발견했다고 생각하여 神農이 죽은 곳을 차향(茶香)으로 부르게 되었다. • 옛날에 사람들은 차를 고차(苦茶)라고도 불렀고, 동한(東漢)에 이르러서야 茶란 명칭이 확립되었지만 단지 이뇨와 가래를 삭혀주며 소화를 돕고 정신을 맑게 하는 일종의 약재로 인식되었다.

  4. 神农 • 중국 삼황의 한 사람으로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다 • 온 세상의 모든 식물의 맛을 보다 독초에 의해 중독이 되었는데 문득 찻잎을 먹고 난 다음 독이 제거되자 이를 인간에게 널리 보급케 했다고 한다. • 신농의 성은 姜氏로 불의 덕으로써 임금이 된 까닭에 炎帝라고도 일컫는다.

  5. 茶와 婚禮 • 과거에는 혼인에 관련된 모든 예식을 삼차육례(三茶六禮)라 불렀다. • 삼차(三茶)는 약혼할 때의 하차(下茶), 결혼할 때의 정차(定茶), 부부가 합방할 때의 합차(合茶)를 말한다. • 이러한 차로 정혼을 하며 차로 손님을 대접하는 풍속은 계속해서 전해져 내려왔다.그래서 '어떤 집의 차를 마시면 그 집 사람이 된다" 는 속담도 있는 것이다.

  6. 옛날 중국에서는 여자와 충신은 절대로 두가지 차를 마셔서는 안 된다는 금기가 있다. • 생산되는 지방도 같고, 종류도 같아야 하며, 붉은 것이면 붉은 것으로 한결같이 한가지 차만을 마셔야 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차나무는 장소를 옮겨 심으면 죽을 정도로 절개가 있기 때문이다. • 따라서 영국인들처럼 차와 우유를, 러시아인들처럼 차와 보드카를 혼합하여 마시는 것을 중국인들은 아직도 피하고 있다.

  7. 茶와 健康 • 중국인들이 손님에게 차를 권하는 것은 주인의 열정적인 접대와 성의를 표시 하는 것이다. • 차를 마시면 머리를 맑게 하고 갈증을 없애며 소화를 돕고 느끼한 것을 제거하며 살균하고 소염하며 소변에 이롭고 해독 역할도 하며 더위를 방지하고 체온을 낮추어 주며 비대감도 감소시킨다. 차는 비단 인체의 건강에 이로울 뿐만 아니라 수명도 연장 시켜준다. • 중국인들은 차를 마실 때 "한 사람이면 정신을 가다듬게 되고 두 사람이면 흥취를 얻게 되고 세 사람이면 맛을 얻게 된다'고 하였다. 서로 가까운 벗들이 모여서 차를 음미하고 무릎을 마주하고 속마음을 나누는 것을 인생에서 제일 유쾌하고 마음 편한 것으로 간주해 왔다.

  8. 중국 속담에 “색골은 마흔도 어려우나, 茶骨은 여든도 거뜬” • 녹차는 과일과 야채에 들어있는 것 보다 훨씬 강력한 항산화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악성 콜레스테롤인 저밀도지단백(LDL)의 혈중농도를 낮추어 준다 한다. • 또한, 다이어트의 효과가 뛰어나고 항균작용, 소화 촉진을 하며, 위를 따뜻하게 하고 갈증 해소, 숙취 제거에도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9. 1998년 O-157균에 의한 집단 식중독이 발생했던 일본에서는 녹차가 O-157 균의 살균에 가장 강력한 특효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자 초등학교 등 단체급식 식당에서 의무적으로 녹차를 제공하기 위해 중국으로부터의 녹차 수입량을 월1만 톤을 증가하기로 한 바 있다. • 고기를 먹고 난 뒤 녹차를 엷게 우려 마시는 것이 O-157 뿐 아니라 고혈압, 중풍, 식중독, 콜레라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것은 이미 의학계에서 광범하게 인정하고 있는 사실이다.

  10. 그러나, 실면증이 있거나 감기 발열증세가 있는 사람, 궤양, 임신부 등은 양을 줄여야 하며 또 취침 전, 약 복용 후, 식사 전후에는 바로 마시지 않는게 좋다. • 녹차는 위장에 대한 자극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위궤양 환자는 마시지 말아야 하며, 铁观音은 소화를 돕는 기능이 뛰어나고 향이 짙기 때문에 공복에 마시지 말아야 한다. • 우룽차(乌龙茶)는 대부분 사람들에게 다 알맞은 차이다. 푸얼차(普洱茶)는 위를 따뜻하게 해주고 혈압과 혈액지질을 낮춰주는 작용을 한다. 푸얼차는 장기 복용할 경우 동맥경화와 심혈관 질병 예방이 도움이 된다고 한다.

  11. 茶의 종류

  12. 綠茶, 紅茶, 花茶 • 중국차의 종류는 발효의 유무와 정도에 따라 녹차, 우롱차, 흑차, 홍차와 그리고 여러 가지 꽃향기를 가미하여 만든 화차 등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발효란 차잎 속의 효소가 공기 중의 수분과 함께 생화학변화를 일으켜, 차잎의 향과 맛에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이다. • ① 불발효차 0% - 녹차류, 백차류 : 찻잎을 따서 바로 증기로 찌거나 솥에서 덖는 방법으로 차의 산화효소를 파괴시키고, 발효가 되지 않도록 하여 녹색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만든 것이 불발효차이다 • ② 반발효차 10%-65% - 청차(우롱차)류 : 햇볕이나 실내에서 시들리기와 교반을 하여 찻잎의 폴리페놀 성분을 15-70% 발효시켜 만든차이다

  13. ③ 전발효차 85%이상 –홍차류 : 발효 정도가 85%이상으로 떫은 맛이 강하고 등홍색의 수색을 나타내는 차이다. 세계전체 차 소비량의 75%를 차지하는 차로서 홍차가 대표적 • ④ 후발효차 - 흑차류, 황차류 : 녹차의 제조 방법과 같이 효소를 파괴시켜 불 발효차를 만든 뒤, 찻잎 속에 남은 약 10%정도의 수분과 폴리페놀, 카테킨, 엽록소 같은 효소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일어나는 생화학적 변화를 후발효라 말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푸얼차를 생차청병 혹은 청병차라고 한다.

  14. 녹차 • 차의 역사상 가장 오래 된 차로 3천년 전으로 보며 생산량이 가장 많다 • 절강성, 안휘성, 강서성 등지에서 재배된다. • 제조방법으로는 볶거나, 찌거나 불에 그을리는 방법이 있다. • 대표적인 차로는 서호용정(西湖龙井), 신양모첨(信阳毛尖), 벽로춘(碧螺春)이 있다.

  15. 홍차 • 우려낸 찻물이 붉은 것에 기인하여 얻어진 이름이다 • 소종홍차(小种), 공부홍차(工夫), 홍쇄차(红碎茶)의 종류가 있다 • 중국에서 2번 째로 생산량이 많은 차로 진홍(镇红), 의흥(宜兴)에서 재배된다

  16. 우롱차 • 청차라고도 하며 독특한 특색을 가진 차로 녹차와 홍차의 제조법과 홍차의 진한 맛, 녹차의 상쾌한 향기를 종합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 다이어트, 건강 등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어 일본에서 미용용 차로 각광을 받고 있다. • 문산의 포종차(包种茶), 안계의 철관음(铁观音), 동정의 우롱차(乌龙茶), 무이의 대홍포가 유명하다.

  17. 백차 • 특수한 진귀한 차로 차의 새싹 잎이 흰색을 띠어 얻어진 이름이다. • 주 생산지는 복건성의 건양, 복정, 정화, 송계 등지이며,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말리는 것과 볶는방법이 있다. • 주요 품목으로는 백목단(白牡丹), 백호은침(白毫银针)이 있다.

  18. 흑차 • 중국 역사상 상당히 오래 된 특유의 차로 가공과정에서 신선한 잎이 검게 변해 얻은 이름이다. • 호남, 호북, 사천, 운남과 광서 등지에서 생산되며 주로 국경 접경지대 에서 소비된다. • 푸얼차(普洱茶)가 대표적인 차 이다.

  19. 차 애호와 지역별 특징 • 중국의 베이징, 동북3성의 북방 사람들은 화차를 좋아하고, 상하이 강소, 절강 사람들은 청차를, 복건, 대만사람들은 우롱차를 즐기는 반면, 영국영향을 많이 받은 광동 사람들은 홍차를, 운남성 지방 소수민족들은 흑차를 주로 마신다. • 외국인의 경우 먼저 화차의 일종인 쟈스민에서부터 시작하여 다음은 중국식 홍차, 그 다음은 동방의 미인이라 불리우는 우롱차를 마시는 경우가 많다.

  20. 8대 명차 • ① 시후(西湖) 롱징차(龍井茶) • ② 쑤조우(蘇州)의 삐루춘 (碧螺春) • ③ 황산 마오펑 (黃山 毛峰茶) • ④ 티에관인 (鐵觀音) • ⑤ 우이차(武夷茶) • ⑥ 치먼(祁門) 홍차 • ⑦ 푸얼차(普洱茶) • ⑧ 모리화차(茉莉花茶)

  21. 차 관련 각종 도구

  22. 1。 차주전자(茶壶): 铁茶壶,金彩诗文茶壶, 奇石茶壶,世界上最小的茶壶

  23. 2。杯子1:闻香杯잔(碗)의 형태에 따라 闻香杯와 盖碗杯로 구분된다. • 긴 잔에 차를 담아주면 낮은 잔을 긴 잔위에 덮고 반대로 돌려 낮은 잔에 차를 담는다. • 차가 담겨있던 긴 잔에 코를 대고 남은 잔의 향을 맡는다

  24. 杯子2:盖碗杯 • 덮개가 있는 찻잔이라는 뜻 • 편리하게 마실 수 있는 찻잔으로, 잔 안에 차잎과 뜨건운 물을 붓는다. • 차가 우러나면 뚜겅을 살짝 연 채로 찻물만을 마신다.

  25. 闻香杯사용법 1

  26. 闻香杯사용법 2

  27. 차탁자/다반(茶盘) • 중국의 다반은 다구를 정렬하고 찻물을 흘려버리는 퇴수기 기능까지 한다 • 한국식 차탁과는 구조나 쓰임새가 다르다

  28. 茶则,茶夹

  29. 차를 끓이는 방법

  30. 차도구 선택과 세정 • 차를 끓이는 차 도구는 유명하거나 귀한 것이 아니라도 반드시 깨끗이 씻어 차 찌꺼기가 남지 않게 한다. • 주인은 때때로 손님 앞에서 차도구를 씻은 후 차를 따르기도 한다. • 만약에 사용한 것이 진귀한 차 도구라면 주인은 손님 곁에서 차를 마시며 차 도구의 역사와 특징을 설명하면서 손님과 같이 감상한다.

  31. 물의 선택과 사용 • 차를 끓일 때 사용하는 물은 반드시 깨끗하고 다른 아무 맛이 없어야 한다. • 차를 대접할 때에는 반드시 뜨거운 물을 사용해야 하며 끓이지 않은 물로 차를 우리는 것은 실례이다. • 그래서 일반적으로 손님이 도착한 후 물을 끓인다. 차를 따를 때에는 70~80%정도 따르는 것이 좋다.

  32. 찻물의 양 • 만약에 컵에 직접 차를 넣어 우릴 때에는 두 단계를 걸친다. • 첫번째 먼저 30%정도 물을 붓고 차를 넣어 잎이 펼쳐진 후 다시 물을 70~80%가 될 때까지 붓는다. • 속담: “술을 가득 따르는 것은 사람을 공경하는 것이고, 차를 가득 따르는 것은 사람을 무시하는 것이다.”

  33. 찻잎의 사용 • 찻잎을 집을 때에는 손으로 찻잎을 집는 것을 삼가 해야 하며 작은 찻숟가락으로 찻잎을 뜨는 것이 좋다. • 왜냐하면 찻잎은 습기가 차면 안 된다. 만약에 손으로 찻잎을 집게 되면 차통의 찻잎이 수분을 흡수하고 쉽게 변질 되기 때문이다. • 또한 손으로 찻잎을 집는 것은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손님에게 실례를 범할 수 있기 때문이다.

  34. 차를 받들 때에는, 두 손으로 찻잔을 놓은 접시나 쟁반을 받들어 가슴 바로 앞까지 들고, 얼굴에는 미소를 띠며, 손님 앞까지 들고 와, • 가벼운 목소리로 “請用茶 (차 드십시오)”라고 말한다. 이때 손님은 몸을 앞으로 이동시킨 후 두 손으로 차를 받고 “謝謝”라고 말한다.

  35. 주인이 손님과 차를 마실 때에는 늘 손님 주전자안 차의 양을 확인해야 한다. • 일반적으로는 찻잔을 이용해 차를 우리고 이미 반 정도를 마셨다면, 뜨거운 물을 3분의 2정도 다시 붓고, 마시는 대로 물을 다시 부어서 차의 농도의 변화가 크지 않도록 한다. • 만약에 주전자에 차를 끓이려면, 제시간에 주전자 안의 물을 채우고, 차와 함께 적당한 다과를 곁들여서 입맛을 조절한다.

  36. 손님을 초대할 경우는 식사 전과 후에 각각 차를 대접한다. • 식사 전의 차는 맑고 향기로운 맛의 녹차나 화차를 선택하며 담백한 것이 좋다. 목적은 입안을 깔끔하게 하기 위해서 이다. • 식사 후의 차는 깊은 향과 달고 맑은 맛의 우롱차나 푸얼차를 선택하며 깊고 짙은 맛이 좋다. 목적은 소화와 해주(解酒)를 돕기 위해서다

  37. 중국 명차 끓이기 西湖龙井茶/铁观音/碧螺春/普洱茶/花茶

  38. 시후(西湖) 롱징차(龍井茶): • 元나라 때부터 재배해온 룽징차(龍井茶)는 항저우(杭州)에서 재배되는 대표적인 녹차 • 용정이란 명칭은 원래 샘 이름이었고 이어 용정사란 절이 세워 졌으며 이 절에서 차를 재배한 것이 유래가 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 룽징차는 짙은 향, 부드러운 맛, 비취 같은 녹색 그리고 참새 혀모양의 잎새라는 네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어 '4절(四絶)'이라 평가를 받고 있다

  39. 룽징차는 물을 끓였다가 섭씨70-80도 정도로 식혀서 차를 우러내야 한다 • 룽징차를 생선 요리 때 넣으면 비린내가 없어지고 냉장고에 넣어두면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 식후에 마시면 가장 맛이 있고 지방질을 분해하므로 닭백숙에 차잎을 넣고 끓이면 아주 담백한 맛을 볼 수 있다고도 한다

  40. 룽징차에는 비타민 C와 안기산 등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중국 예방의학과학원이 항암차로 발표한 17가지 차 중의 하나이다. • 룽징차는 모두 16등급으로 나누어지는데, 1등급차는 청명(4월 5일) 이전에 딴 것으로 명전( 明前)차라 하고, 2등급 차는 곡우(4월 20일) 이전에 딴 것으로 우전(雨前)이라 한다. • 3등급은 5월의 것이고, 그 외에 여름과 가을에 따는 차는 쟈스민차나 홍차를 만든다.

  41. 铁观音 • 우롱차의 대명사 티에관인 (鐵觀音) 은 우롱차다. 그러나 우롱차는 티에관인 (鐵觀音) 이 아니다. • 기존의 차 관련 전문서적 중에도 티에관인 (鐵觀音) 과 우롱차를 각각 별개의 차 종류로 설명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마치 <북경>을 <중국> 자체로 여기는 것처럼 틀린 것이다. • 즉 티에관인 (鐵觀音) 은 중간 발효 녹차인 우롱차의 대표주자이다.

  42. 티에관인 (鐵觀音) 은 타이완을 마주 바라보고 있는 푸지엔(福建)성의 안씨(安溪)현에 나오는 차를 최상품으로 친다. • 각성효과가 탁월하여 중국의 고3생들이 잠을 쫓기 위해 푹 끓여서 주전자 채로 마시곤 한다고 한다. • 일본사람과 유럽사람들이 좋아하며 감비차 또는 항암차로 잘 알려져 있다. 타이완으로 쫓겨나간 쟝제스 일족이 제일 좋아했던 차이기도 하였다.

  43. 티에관인 (鐵觀音) 을 만드는 법은 일반적으로 우롱차의 제다방법과 비슷하지만 비비는 시간이 우롱차보다 더 길다. • 차를 식히는 시간은 티에관인 (鐵觀音) 이 우롱차보다 짧다. 티에관인 (鐵觀音) 은 저녁이 오기 전에 햇빛에 차를 시들리고 밤동안 차를 유념하고 식힌 뒤 그 다음날 아침이 되어야만 바람직한 티에관인 (鐵觀音) 의 발효정도가 된다. • 그런 다음에 다시 차를 덖어 비비고 배홍(焙烘)을 하루 반나절을 한다.

More Related